2 간결하게 쓰기 위해서
중요한 개념은 반복해서 나오기 마련이다. 반복은 나쁜 것이 아니라 필수적인 요소이다. 우리가 새겨야 할 것은 “좋은 반복은 좋은 반복이고, 나쁜 반복은 나쁜 반복이다” 라는 문장이다. 마음에 새겨 두자. 좋은 반복은 좋은 반복이고 나쁜 반복은 나쁜 반복이다.
본 내용에 들어가기 앞서 한국인에게는 생소한 개념을 하나 쓰고 시작한다. ‘It”은 정말로 귀중한 단어다, 그러니까 it을 쓸 데 없는 문장에 낭비하지 말자. 이를테면, 아래 문장을 보자.
It is significant that POSTECH is not located near Seoul.
이 문장에서 it이 무엇을 표현하는가. 없다! 이런 문장에서 it을 쓰는 것은 it의 낭비라고 할 수 있다. 문장을 분석해보면, 가장 중요한 주어는 POSTECH 이고 POSTECH이 서울 근처에 없다는 것이 유의하다는 것만 표현해주면 된다. 이렇게 바꿔보자.
Significantly, POSTECH is not located near Seoul.
훨씬 간결하고 정확한 문장이 되었다… 잘 안느껴진다고? 그냥 It is…that 구조는 피하라. 피하는 방법은 어딘가에 있다.
2.1 Noun Compounds
Noun compound는 명사로 명사를 수식하고 싶을 때 사용되는 표현이다. 문장으로 표현되는 긴 표현을 간결하게 표현하기 위한 필살기라고 할 수 있겠다. 예를들면
The efficiency of cells using a fuel that are based on an oxide in solid form 로 효율성을 표현한다면 매번 문장에서 무려 16 어절이나 써야하기 때문에 독자는 피로를 느낀다. 그냥 간결하게 solid oxide fuel cell efficiency 라고 쓰면 독자는 피로를 느끼지 않고 우리의 의도를 파악할 수 있을 것이다. 그렇다고 아무렇게나 쓰면 오히려 독자를 헷갈리게 한다. 따라서 아래 9가지 조건에서만 noun compound를 쓴다면 혼동을 피할 수 있을 것이다.
- Possession (X의 Y): mouse DNA
- Purpose (X하는 Y): restriction enzyme
- Location (X에 있는 Y): boundary conditions
- Composition (X로 {구성된, 포함한, 만들어진} Y): A. steel mesh; B. carbon steel; C? carbon steel mesh
- Operation Principle (X로 작동하는 Y): internal combustion engine
- User Interaction (X를 매개로 사용하는 Y): Hand saw (손톱 아니다..)
- Size (X 크기의 Y): 42-inch display
- Shape (X 모양의 Y): square wave
- Inventor (X가 만든 Y): Diesel engine
이 조건만 맞춘다면, 아마 noun compound에서 누군가를 헷갈리게 할 일은 없을 것이다.
2.1.1 3개 이상의 단어로 구성된 Noun compound
공학밖에 모르는 산공이가 그래도 경영을 조금 배운 산경이에게 물었다.
산공: “산경아, 나는 noun이 30개로 이루어진 noun compound를 쓰고 싶어!”
산경: “제발 그런 짓을 하지 말자”
산공: “그럼 3개 정도는 괜찮나요?”
산경: “애매하게만 안 쓴다면, 괜찮을 것 같아”
역시 과 이름이 경영이 붙은 산경이가 영어를 더 잘하는 것 같다.
아무튼 산경이 말대로 애매하지 않게 noun compounds를 쓰는 방법은 뭘까?
1. 수식 관계가 복잡하다면 hyphen (-)으로 명확하게 수식 관계를 표현하자.
High energy physics researcher (X)
High-energy physics researcher (O)
ð High가 수식하는게 energy 인지 researcher인지 헷갈리지 않게 처리했다.
2. 9가지 용법 중에 헷갈린다면 사용하기 전에 명확하게 noun compound의 뜻을 알려주라.
Ceramic reduction vessel 이라는 단어를 보자. 대충 뭔가를 reduce하는 vessel인 것 같다. 근데 이게 Ceramic을 없애는 것일까, Ceramic으로 만들어진 것일까? 아무도 모른다, 내가 알려주기 전까지. 그러니까 이 단어를 쓰기 전에 “Vessel made of ceramic could reduce …” 라는 문장을 한번이라도 써준다면 독자는 이 단어를 보고 Ceramic으로 만들어진 걸 의미하는구나 하고 알 수 있을 것이다.
3. 너무 많은 nouns들을 compound 하지마라
정확한 rule은 없다. 그러나 보기에 헷갈릴 정도로 많이 쓰진 말자. 만약에 쓰고 싶다면… noun compound 를 쪼개서 “구”로 바꿔주는게 차라리 더 좋다.
Chrome steel regulator assembly mounting bracket (X)
Regulator assembly mounting bracket made by chrome steel (O)
2.2 Repetition avoidance
아무튼 나쁜 반복은 없애주는게 좋다. 다시 새기자: 좋은 반복은 좋은 반복이고, 나쁜 반복은 나쁜 반복이다. 계속 쓰다보니 진중권 교수가 작은 고추는 작다라고 쓴게 생각나서 기분이 이상하다.
여기서는 잡기술 같은거 없다, 그냥 반복되는 개념이 있다고 생각되면 제거하는 센스를 길러야 한다. 이런 센스를 기르면 자연스럽게 느껴지는 것들이 있다고 한다. 한국인이 자주 실수 하는 단어 중에 하나가 “red color”라고 한다. 빨강색이라고 너무 자연스럽게 해석되지만 이미 red라는 단어는 빨간 색이라는 개념을 가지고 있다. 따라서 저 표현은 약간 빨간 색깔의 색 이라는 느낌을 가지는 해석이 된다. 해석은 되는데 다들 이상하게 느끼리라 생각한다.
Mr. Close는 이것을 value, property를 생각해보면 된다고 한다. Red는 color라는 property의 value를 주는 단어이다. Value는 property가 없으면 정의될 수 없는 단어이기 때문에, 굳이 property를 언급하지 않아도 property는 자연스럽게 해석할 수 있다.
나는 영문학과가 아니므로 자세한 설명은 패스한다….
Value, property를 생각하기 귀찮다면, 그냥 줄일 수 있다면 줄여보자. Precise한 문장이 항상 더 좋은 문장이다, 똑같이 clear한 문장이라면!
The rollers in the assembly had a cylindrical shape. (Value, property 중첩)
==> The rollers in the assembly are cylindrical
The cost of the protective film was 6% of the total cost. (Be 동사로 표현해야만 하나?)
==> The protective film costs 6% of the total.
Granny Brock always made delicious tasting vegetable stew. (Value, property 중첩)
==> Granny Brock always made delicious vegetable stew
The importance of a mentor to a young professional is essential, regardless of the field they are entering. ({essential, importance}가 유사한 것 같고, field는 반드시 enter해야 하는 것 같다)
==> Regardless of the field, mentor to a young professional is important.
'Research Tools > 영어 논문 작성법' 카테고리의 다른 글
영어 논문 작성법 (5) - 집중할 수 있는 글을 쓰자 (0) | 2021.05.19 |
---|---|
영어 논문 작성법 (4) - 집중할 수 있는 흐름을 가진 글에 대해 (0) | 2021.05.19 |
영어 논문 작성법 (3) - The를 잘 써보자 (0) | 2021.05.14 |
영어 논문 작성법 (1) - Why we write a research paper (0) | 2021.05.13 |
영어 논문 작성법 (0) - 이 시리즈물을 왜 썼는가. (1) | 2021.05.13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