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4 Flow가 있는 글 쓰기
Focus에서 배운 것은 중요한 것은 중요한 곳에 넣는다는 것이다. 즉 topic을 전달하기에 가장 중요한 것을 주어에 넣어야 한다. 하나의 문장에는 하나의 주어만 있을까? 앞서 절 (clause) 단위의 topic도 있다고 했는데, 하나의 문장에는 두 개 이상의 절이 있을 수도 있다. Flow가 있는 문장은 절 단위의 topic이 부드럽게 읽히는 글이라고 할 수 있다.
절 단위의 topic이 부드럽게 읽히기 위해서는 절 간의 연결이 자연스럽게 되면 된다. 자연스럽게 연결하기 위해서는 연결되는 절 간의 관계가 무엇인지 의미적으로 먼저 파악되야 한다.
우선 인과 관계를 예시로 들어보면 다음과 같은 방법들이 사용될 수 있다.
- Adverbial transitions: Thus, As a result, Hence…
- Coordinate clause structure: so, for (for is quite uncommon)
- Adverb clause structure: because, since, so that,
- Irregular final relative clause/participle phrases: No clear vocabulary
- Verbs: cause, result in/from, produce, lead to, etc.
- Nouns: cause, result, effect
- Prepositions: because of, due to, (BUT NOT by!)
아마 이런 구조의 글들은 읽을 때는 익숙한데 쓰려고 하면 잘 안 떠오를 수 있다. 내가 쓴 문장이 이상하게 연결이 부자연스럽다면 절을 연결하는 다른 방법들을 적용해봐도 될 것이다.
예를 들면, 뭔가 길이가 짧은 문장 두 개가 있어서 어색해 보인다면 2번의 Coordinate clause structure를 활용할 수 있다.
예시) Examples make ideas clearer. Thus, I have prepared this example
à Examples make ideas clearer, so I have prepared this example.
이런 관계를 체계적으로 다시 정리해보자.
3.4.1 접속사를 통한 절의 연결
3.4.2 부사절을 이용한 것 (Adverb Clause)
부사절을 활용하면 문장을 연결할 수 있다. 이 부사절로 사용되는 용례를 소개한다.
Time (시간의 관계)
Place (장소의 관계)
Manner (“어떻게”의 관계)
Distance (거리의 관계: 물리적, 심리적 모두 포함)
Frequency (빈도의 관계)
Reason (근거의 관계)
Purpose (목적의 관계)
Result (결과의 관계)
Condition (어떤 조건의 관계)
Partial Contrast (~불구하고의 관계)
Contrast (대조의 관계)
3.4.3 Chunking을 통해 적절한 길이의 문장을 만들자
Chunk는 한번에 쉽게 이해되는 “말 꾸러미”라고 생각하면 된다. 문장은 여러 개의 말 꾸러미로 나뉠 수 있는데, 주로 문장 안에서 의미 단위로 묶이는 단어 시퀀스라고 할 수 있다.
문장을 chunk 로 나누는 예시는 다음과 같다.
Skillful writers design sentences so that readers can easily find appropriately sized chunks and [can confidently relate them to the previous/following information].
[Skillful writers design sentences] so that [readers can easily find appropriately sized chunks] and [can confidently relate them to the previous/following information].
Flow가 있는 문장은 독자가 읽기에 (1) chunk가 쉽게 읽히고 (2) chunk 간의 관계가 잘 드러나는 문장이라고 할 수 있다. 다시 구체적으로 표현하면
(1) Chunk가 쉽게 읽히기 위해서는 10 – 12 단어 정도가 가장 적절하다고 한다.
(2) Chunk (주로 절) 간의 관계가 externally 나타나면 좋다.
예시로 보자.
The demand for carbon sequestration technology implicitly depends on the assumption of humanity’s inability to eliminate its dependence on hydrocarbon fuels such as petroleum and coal.
이 문장을 의미 단위로 chunking 하면 [The demand for carbon sequestration technology] [implicitly depends on the assumption of humanity’s inability to eliminate its dependence on hydrocarbon fuels] [such as petroleum and coal]. 로 될 수 있다. 이 때, (1) chunk가 너무 많은 단어로 구성되어 있어서 이것을 한번에 읽기가 너무 힘들고 (2) 각 chunk 간의 관계가 더 잘 드러나면 좋을 것이다.
따라서 문장 2는 chunk 관계가 뚜렷하게 나타나게 재구성해야 읽기가 편할 것이다. 수학 공식처럼 적절하게 쪼개는 공식은 없지만, “의미 단위”를 다시 구성한다면 이것이 가능하다고 한다. 의미 단위로 문장을 나눠보고, 나눠진 의미가 보존되는 수준에서 동사를 명사로, 명사를 동사로 바꾸는 등의 시도를 해보는 것도 좋다.
문장 2를 다시 써보자.
문장 2. The demand for carbon sequestration technology implicitly depends on the assumption of humanity’s inability to eliminate its dependence on hydrocarbon fuels such as petroleum and coal.
의미 단위로 나누고 의미 간의 관계를 나타내면, [Carbon sequestration 기술이 필요하다] -왜냐하면- [인간이 eliminate its dependence on hydrocarbon fuels such as petroleum and coal 능력이 없다] 가 된다. “왜냐하면”은 우리가 잘 아는 단어 because로 바꿀 수 있고, 이러면 의미 간의 관계가 더 잘 드러나는 문장이 될 것 같다. 다시 써보자.
[Carbon sequestration technology is necessary] because [humanity apparently can’t eliminate its dependence on hydrocarbon fuels] [such as petroleum and coal.]
Chunk 의 길이가 짧아졌고, chunk 간의 관계가 아주 명확해져서 훨씬 읽기 편한 문장이 되었다. 오예!
아래 예시들을 살펴보면 조금 감이 잡힐 수도 있을 것이다.
Applying these methods to another motion will require another skin marker displacement modeling or another AL position estimation modeling.
These methods can be applied to another motion if another skin marker displacement or AL position estimation is modeled.
Determination of the density of states in complex biomolecules requires a complex simulation based on the Wang and Landau scheme.
The density of states can be determined in complex biomolecules if they are simulated using the Wang and Landau scheme.
The increasing complexity of modern systems and the social, economic and legislative pressures for good design have led to the demand for the ergonomics input to be made available as early as possible in the design program, starting preferably at the concept stage.
The ergonomics input should be made available as early as possible in the design program, starting preferably at the concept stage. This is because of the increasing complexity of modern systems and the social, economic and legislative pressures for good design.
Therefore, the rate of change of the neutral flux is smaller than that of the ion flux because of the smaller reflection from the larger incident angle distribution.
Therefore, the neutral flux changes less than the ion flux because the larger incident angle distribution yields a smaller reflection.
'Research Tools > 영어 논문 작성법' 카테고리의 다른 글
영어 논문 작성법 (Epilogue) (0) | 2021.06.13 |
---|---|
영어 논문 작성법 (5) - 집중할 수 있는 글을 쓰자 (0) | 2021.05.19 |
영어 논문 작성법 (4) - 집중할 수 있는 흐름을 가진 글에 대해 (0) | 2021.05.19 |
영어 논문 작성법 (3) - The를 잘 써보자 (0) | 2021.05.14 |
영어 논문 작성법 (2) - Precise 하게 쓰자 (0) | 2021.05.13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