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승H정전/아주 짧은 생각

Open-access 논문은 왜 저평가 받을까..

by 승공돌이 2022. 8. 19.

최근에 대학에서 신규 교원을 임용할 때 논문 실적 중 open access 가 있으면 그에 대한 평가를 좋지 않게 준다는 이야기를 들었다. 점수로 환산되는 정량 평가야 이런 평가절하가 벌어지진 않지만, 정성 평가로 넘어가게 되면 open access 저널에 게재된 논문이 있다면 자신의 논문에 프라이드가 없는 사람 취급한다는 그런 내용이었다.

 

논문을 투고하기 전에는 몰랐지만, 몇 차례 reject를 겪으며 여러 학술지에 게재를 시도하다 보니 왜 그런 평가를 받게 되는지 알게 되었다. 우선, 약탈적 학술지들이 open access 학술지를 주장하며 높은 게재료를 요구하면서 동시에 느슨하고 빠른 심사를 지원하기 때문이다. 돈을 지불하면 쉽고 빠르게 게재시켜주겠다는 것이다. 그렇기에 동료 평가 (peer review)의 질이 떨어질 수밖에 없고, 그 저널의 논문들은 함께 저평가받는 것이다. 다음으로는 Subscription/Open-access 병행 저널에서 Open-access를 늘리기 위해 open-access로 투고하는 논문에 대해서 빠른 심사를 지원하기 때문이다. 이 경우에는 뭐.. 실력이 아닌 돈으로 빨리 논문을 찍어내는 연구자라는 오명을 쓸 수도 있겠다는 생각이 들었다.

 

그렇다 치더라도 교원을 심사하는 과정에서 게재한 논문의 질적 평가가 아닌 open-access 여부가 들어가는 것은 이해하기 힘들다. 나는 open-access 운동을 지지하는데, open-access에 기여하면 저평가받는 환경이라니.

(우선 논문 한 편이라도 쓰고 고민해야겠지만) 좋은 의도로 시작된 open-access 운동에 연구자들은 혼란에 빠질 수 밖에 없는 구조인 것 같다.

 

역시 진정한 open access는 https://www.arxiv.org  뿐인 것입니까....?

 

arXiv.org e-Print archive

Accessible arXiv Do you navigate arXiv using a screen reader or other assistive technology? Are you a professor who helps students do so? We want to hear from you. Please consider signing up to share your insights as we work to make arXiv even more open.

arxiv.org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