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전체 글142

레디 플레이어 원 (2018): 메타버스의 비극을 어떻게 막을까 레디 플레이어 원 레디 플레이어 원 (영화)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레디 플레이어 원》(영어: Ready Player One)은 2018년 개봉한 미국의 SF 모험 영화이다. 스티븐 스필버그 감독의 연출작으로 어니스트 클라인의 동명 소설을 영화 ko.wikipedia.org A와 대화하면 대화의 주제가 어디로 튈지 알 수 없다. 경영, 경제, 공학, 그리고 연예계 가십거리까지 정말 많은 주제에 대해서 얘기하게 된다. 오늘의 주제는 경제였다. 바로 메타버스가 대세가 되어가는 현재, 우리는 어떻게 대응해야 하는가...에 대해서. 그러다가 A가 레디 플레이어 원이라는 영화가 메타버스에 대한 주제를 담고 있다고 알려주었고, 오늘 밤에 함께 보자고 제안하였다. 나는.. 2021. 5. 30.
잭 스나이더의 저스티스리그 (2021): 0.99999... 는 1이 아니다 잭 스나이더의 저스티스 리그 슈퍼맨이 죽고 지구에 어둠의 그림자가 드리운다. ‘마더박스’를 차지하기 위해 빌런 스테픈울프가 파... movie.naver.com 나는 현실적으로 개연성이 부족한 영화를 좋아하지 않는다. 그렇기 때문에 히어로물을 그렇게 좋아하지는 않는다. 알고보니 주인공이 더욱 더 강력한 힘을 가지고 있었던 것이었다, 알고보니 얘한테는 약점이 있었는데 주인공이 몰랐을 뿐이었다와 같은 데우스 엑스 마키나와 같은 연출을 보면 무언가 김이 빠져버리는 느낌을 받는다고나 할까. ​ 그럼에도 불구하고 다크나이트는 나에게 감동을 주었던 히어로물로 기억되고 있다. 앞에서 신념처럼 얘기해두고 예외 사항을 억지로 만드는 것 같지만, 다크나이트에서 배트맨은 "인간"으로서의 한계점을 가지고 있는 히어로이고, 그.. 2021. 5. 21.
영어 논문 작성법 (5) - 집중할 수 있는 글을 쓰자 3.3 Focusing 하게 쓰기 제목 그대로이다. 문장에서 제일 중요한 녀석을 주어와 서술어로 넣어야, 영어가 모국어인 사람들은 그것에 집중(한다고) 한다. 또한 서술어에 대한 보어, 목적어에 중요한 내용을 넣어야 그것이 자연스럽게 집중된다고 한다. 다음의 문장들을 살펴보자. (편의상 문장 번호 부여) An accurate model for describing the motion of charged particles is the particle-in-cell Monte Carlo collision (PIC-MCC) model, a self-consistent and fully kinetic approach. In this method, the trajectory of particles in phase .. 2021. 5. 19.
영어 논문 작성법 (4) - 집중할 수 있는 흐름을 가진 글에 대해 3 집중을 유도하는 흐름을 가진 글: Focus and Flow 3.1 집중과 흐름 (Focus and Flow) 이란 집중(Focus)할 수 있는 글이란 저자가 얘기하고 싶은 중심 내용을 독자가 중심 내용이라고 받아들이기 쉬운 글이라고 할 수 있다. 이는 영어에서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글을 구성하고 있는 다양한 내용들의 중심점 연결을 해주는 내용, 그것을 우리는 topic이라고 한다. (주제쯤 되겠지?). Topic은 글 단위의 topic, Section 단위의 topic, 문단 단위의 topic, 절 (clause) 단위의 topic 정도로 크기에 따라서 정리될 수 있다. 글 단위의 topic이 하나라도, 글을 구성하는 Section의 개수만큼 세부 topic이 있을 수 있다. 유사하게 Secti.. 2021. 5. 19.
반응형